100%

일하면서 시작하는

활기찬 노후!

home arrow자료마당 arrow복지정보

자료마당

복지정보

65세 넘으면 무조건 노인?…이젠 70~75세는 돼야"
  • 관리자
  • 2011.02.21 09:06
  • 1,190

    65세 넘으면 무조건 노인?…이젠 70~75세는 돼야"


    국립중앙의료원 심포지엄, "노화도 고치고 개선가능하다" 논의 [


    253호] 2011년 01월 11일 (화) 장한형 기자 janga@nnnews.co.kr


    노인의 연령기준을 현행처럼 65세로 못 박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평균수명이 80세를 넘어선 지금, 70~75세는 돼야 노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립중앙의료원(원장 박재갑)은 1월 11일 의료원 대강당에서 ‘고령자란’이란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고, 고령자에 대한 연령기준을 새롭게 규정할 필요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통상 ‘고령자’란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서 개인의 자기유지 기능과 사회적 역할 기능이 약화된 사람을 지칭하며, 노인복지법과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등은 뚜렷한 근거 없이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최근 사망률의 현저한 저하와 수명연장 등으로 장애 없는 건강한 고령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실에서 '65세 기준'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사회경제적으로도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고령인구 비율이 점점 늘어나는데 반해 이들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할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는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고령자의 사회참여가 매우 절박하다는 점 등이 거론됐다.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박상철 소장(서울대 의대 교수)은 노화현상에 대해 “비가역적(非可逆的,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쉽게 변하지 않는 특성)이고 불가피한 변화”가 아닌 “가역적이고 능동적인 변화”로 정의했다. 박 소장은 “노화를 수동적이고, 비생산적이며 비효율적인 현상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며 “고령자가 자긍심을 갖고 생산적 주체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노화학회 이재용 회장(한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은 “생물학적으로 고령자는 생리적, 신체적 기능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고령자들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개인차가 크다”며 “고령자를 ‘65세 이상’으로 정의할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생물학적, 시대적, 사회경제적 요인을 포괄한 새로운 평가기준이 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노년학회 윤가현 회장(전남대 심리학과 교수)은 “만 65세 이상을 고령자로 보는 것은 평균수명이 50세를 넘지 못했던 20세기 중반에 설정된 기준”이라며 “평균수명이 80세를 넘는 현 시점에서는 고령자의 기준을 70세나 75세 등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또, “퇴직연령을 없애고 기능유지에 대한 개인차를 반영한 탄력적 복지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철호 노인의료센터장(서울대 의대 내과학교실 교수)은 “미국, 영국에서 유래된 고전적인 ‘노인의학’의 개념은 만성질병을 가진, 독립적인 삶이 불가능한 고령자에 국한돼 있었다”며 “질병 예방과 조기발견, 위험인자 관리, 건강증진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노인의학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연병길 고문(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정신과)은 “가족, 친구, 직장, 건강의 상실과 더불어 역할의 상실, 자존심의 상실을 겪을 시기가 고령자”라며 “이 시기에는 자기주체성을 유지하고 인생을 검토하는 회고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만족감과 대인관계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주관한 박재갑 원장은 “노인의 기준이 65세 이상으로 정해진 것은 평균 수명이 50세 미만이던 19세기 후반 독일 재상 비스마르크에 의한 인위적인 기준”이라며 “지금의 90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21세기 대한민국 사회는 65세 이상 연령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라며 “따라서 노화로 인한 기능 저하도 ‘고치고 개선시킬 수 있다’는 능동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원장은 “문제는 아직도 법이나 사회적 제도가 이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30~40년 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라며 “따라서 빠른 시일내에 노화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해 고령자의 능동적인 사회참여와 봉사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blank image